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블록체인의 구성 요소- 블록은 어떤 데이터를 포함하는가?

by 완공이 2025. 2. 23.

블록 체인의 구성요소인 블록은 하나의 데이터 저장 단위로, 여러 개의 트랜잭션(거래 내역)과 관련 메타데이터를 포함합니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과 연결되어 블록체인(Chain)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연속성과 보안성을 보장합니다.

1. 블록의 기본 구조 < 블록 헤더 , 블록 바디>
2. 블록 헤더의 구성요소 < 버전, 이전 해시, 머클루트, 타임스탬프 ,난이도 >
3. 블록 바디의 구성요소 < 트랜잭션 개수 , 트랙잭션 목록 >
4. 블록데이터 예시 
5. 블록의 역할

다른글 보기 
- 암호화 화폐(가상화폐)의 개념과 정의 특징 종류 활용 분야
- 블록체인 기술의 완벽한 해설 - 숫자와 그림으로 이해해요.

1. 블록의 기본 구조

블록은 크게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블록 구조 개요

블록 구성 요소 설명
블록 헤더(Header) 블록의 식별 정보와 해시 값 저장
블록 바디(Body) 실제 거래 데이터(트랜잭션) 저장

블록의 크기는 네트워크에 따라 다르며, 비트코인의 경우 1MB 정도입니다.
이더리움의 경우 가스(Gas) 단위로 블록 크기가 정해집니다.


2. 블록 헤더(Block Header)의 구성 요소

블록 헤더는 블록의 요약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블록 헤더 구성

항목 설명
1. 블록 버전(Version)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 버전
2. 이전 블록 해시 (Previous Block Hash) 이전 블록의 해시 값 (블록체인 연결 역할)
3. 머클 루트(Merkle Root) 블록 내 모든 거래 데이터의 암호화된 요약값
4. 타임스탬프(Timestamp) 블록이 생성된 시간 (초 단위, UTC)
5. 난이도 목표(Difficulty Target) 블록 생성 난이도를 조정하는 값
6. 논스(Nonce) 작업 증명(PoW)에서 마이닝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값

 

(1) 블록 버전(Block Version)

  • 해당 블록이 사용한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냅니다.
  • 블록체인의 규칙이 변경될 경우 버전이 업데이트됩니다.
Version: 0x20000000 (비트코인 SegWit 활성화 버전)

 

 

(2) 이전 블록 해시 (Previous Block Hash)

  • 해당 블록이 어떤 블록과 연결되는지 확인하는 해시 값입니다.
  • 블록체인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 만약 블록이 조작되면, 이후 모든 블록의 해시 값이 변경되므로 변조가 불가능합니다.
Previous Block Hash: 0000000000000000000abc1234def56789...

 

(3) 머클 루트(Merkle Root)

  • 블록에 포함된 모든 트랜잭션 데이터를 암호화한 해시 값입니다.
  • 머클 트리(Merkle Tree) 구조를 사용하여 모든 거래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 머클 루트 예시

Merkle Root: 4d5f3a5d1e67f2e92bb459b3c5d678df...

🔹 머클 트리 개념 (트랜잭션 해시를 결합하여 최종 루트 생성)

       Merkle Root
         /     \
    Hash A    Hash B
   /     \   /     \
 Tx1   Tx2 Tx3   Tx4
  • 개별 트랜잭션(Tx1, Tx2, …)을 해시(Hash A, Hash B)로 변환 후, 최종적으로 머클 루트(Hash AB)를 생성합니다.

(4) 타임스탬프(Timestamp)

  • 블록이 생성된 시간(초 단위, UTC)입니다.
  • 네트워크 내 모든 노드가 동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블록을 검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Timestamp: 1645551234 (유닉스 시간)

 

 

(5) 난이도 목표(Difficulty Target)

  •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난이도를 결정하는 값입니다.
  • 블록 생성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조정됩니다.

🔹 비트코인 난이도 조정 원칙

  • 목표 블록 생성 시간: 10분
  • 블록당 난이도 조정 (2주마다 업데이트)

(6) 논스(Nonce)

  • 마이닝(채굴) 과정에서 적절한 해시를 찾기 위해 변경되는 값입니다.
  • 작업 증명(PoW) 방식에서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해시 값을 찾을 때까지 계속 변경되는 숫자입니다.
Nonce: 3957612385
  • 채굴자는 해시 퍼즐을 해결하기 위해 논스를 계속 변경하며 계산합니다.

3. 블록 바디(Block Body)의 구성 요소

블록 바디에는 실제 트랜잭션(거래)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항목 설명
트랜잭션 개수(Transaction Count) 블록 내 저장된 거래 수
트랜잭션 목록(Transaction List) 모든 거래 내역 저장

 

 

(1) 트랜잭션(Transaction) 데이터

  • 블록 바디의 핵심 부분으로, 블록 내 모든 거래가 기록됩니다.
  • 각 트랜잭션은 송신자, 수신자, 거래 금액, 서명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송신자 (보낸사람) 수신자 (받는사람) 금액 서명
A (주소) B (주소) 3 BTC 0x123abc...
C (주소) D (주소) 1 BTC 0x456def...

 

(2) 트랜잭션 개수

  • 해당 블록에 포함된 총 거래 수를 나타낸다.
  • 비트코인의 경우, 블록 크기(1MB) 제한으로 약 2,500개 정도의 거래를 포함할 수 있다.
Transaction Count: 2,450개

4. 블록 데이터 예시 (비트코인 블록 #700,000)

실제 비트코인 블록 데이터를 살펴보겠습니다.

{
  "block_hash": "000000000000000000091c5f...",
  "previous_block": "0000000000000000000abc1234...",
  "merkle_root": "4d5f3a5d1e67f2e92bb459b3c5d6...",
  "timestamp": 1645551234,
  "difficulty": 22000123456789,
  "nonce": 3957612385,
  "transactions": [
    {
      "sender": "1A1zP1eP5QGefi2DMPTfTL5SLmv7DivfNa",
      "receiver": "3J98t1WpEZ73CNmQviecrnyiWrnqRhWNLy",
      "amount": 0.5,
      "signature": "0xabcdef..."
    },
    ...
  ]
}
  • previous_block: 이전 블록과 연결된 해시 값
  • merkle_root: 블록 내 모든 거래의 요약 해시
  • transactions: 해당 블록 내 모든 거래 내역 포함

5. 결론: 블록의 역할

블록체인의 블록은 각 거래 내역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조작 불가능한 형태로 유지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은 금융, 계약, 데이터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들로 블로체인 기술의 발전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핵심 원칙

  1. 연결된 블록 → 데이터를 영구 보관
  2. 암호화된 해시 값 → 보안 강화
  3. 분산 저장 방식 → 중앙 기관 없이 신뢰 유지

 


< 다른 글 보기 >

암호화 화폐(가상화폐)의 개념과 정의 특징 종류 활용 분야

 

암호화 화폐(가상화폐)의 개념과 정의 특징 종류 활용 분야

암호화 화폐란 무엇인지? 특징은 무엇이고 어떤 종류와 활용분야가 있는지에 대해 작성하였습니다. 1. 암호화 화폐란?2. 암호화 화폐의 주요 특징 3가지 탈중앙화 암호화기술 블록체인3. 암호화

perpectstudy.tistory.com

블록체인 기술의 완벽한 해설 - 숫자와 그림으로 이해해요

 

블록체인 기술의 완벽한 해설 - 숫자와 그림으로 이해해요~

1. 블록체인이란?블록체인은 거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고 이를 사슬처럼 연결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입니다.이름 그대로 Block 과 Chain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일반적인 데이터베이

perpectstudy.tistory.com